> 지원센터 > PBL

PBL

Project Based Learning(PBL)이란
Project Based Learning: Culture Making for Shalom Communities 샬롬 공동체를 위한 배움의 공간과 문화를 만드는 교육과정 운영, 교육실천의 방향입니다. PBL은 세계관과 교과의 통합, 교육과 삶의 통합, 그리고 학교에서 이웃 사회로 나아가는 배움의 공간 창조를 통해 배움과 실천이 하나 되는 삶을 위한 교육, 배움의 가치를 담아내는 교육과정 운영의 틀(구조와 운영방향)입니다.
우리의 PBL은 성경적인 세계관을 기초로 앎은 곧 사랑이라는 배움의 철학을 바탕으로 합니다.


프로젝트 기반 학습 (Project Based Learning, 이하 PBL)은 탐구 중심 교육 방법론입니다. 다른 교수 방법과 PBL을 구분하는 중요한 차이점은 프로젝트가 학습의 중심 상황으로써 사용된다는 점입니다. 전통적으로 프로젝트들은 단원 마지막에 가서 학생들이 자신들이 배운 것을 요약하거나 보여주기 위해 사용되었습니다.
PBL에서는 프로젝트 자체가 단원이 되며, 교사와 학생이 학습 환경과 경험을 형성하는 주요 통로로 작용하게 됩니다. 프로젝트의 핵심은 프로젝트의 모든 요소들(질문/풀어야 할 문제, 탐구하고 구성하고 배움을 나누는데 사용되는 기술, 프로젝트 진행을 도와줄 전문가 및 청중들)이 배움의 목적에 꼭 맞는 것으로 의도된다는 것입니다.
프로젝트의 전 과정동안 학생들이 기술 및 교육과정상의 목표내용을 모두 잘 배울 수 있는 지도와 계획이 필요합니다.


Project Based Learning(PBL)의 모델
우리의 PBL아카데미는 Christian Teachers Academy의 모델을 기초로 하고 있습니다.
다음의 그림은 아카데미 PBL모델의 주요 요소들을 보여줍니다. 이 요소들은 서로 맞물려 짜여져 있는데 전체 모형의 맥락 속에서 이해되어야 합니다.

핵심
중심에 있는 요소는 기독교 학교 정체성의 핵심이다. 기독교 학교는 예수 그리스도의 생애를 지혜가 체현(體現)된 것으로 고백한다. 우리들의 삶 뿐만 아니라 모든 피조물들은 그를 통해서 구속되고 회복된다. 문화와 성품, 지식과 기술의 숙달, 아름다운 작품을 추구하는 것과 같은, 우리가 모든 학생들에게 바라는 배움의 세 차원은 모두 그 분을 중심에 둔다.

문화와 성품
배움의 문화를 통해 성품을 만들고 고양시키는 것은 성공적 배움을 위해 가장 중요한 점이다. 아카데미 및 그 협력기관들은 성령 충만한 공동체가 갈라디아서 5:22~23절에 소개된 성령의 열매을 맺게 될 것이라고 믿는다. 바로 사랑, 기쁨, 화평, 오래참음, 자비, 양선, 충성, 온유, 절제이다. 이런 성품은 “이해를 위한 경청, 용기있고 정직하게 말하기, 공동체 안에서 서로를 어떻게 대해야 하는지에 대한 규정을 함께 만드는 것” 등 배움의 모든 면에 녹아져야 할 필요가 있다



지식과 기술의 숙달
그리스도의 형상을 가진 모든 학습자들은 창조세계를 발견해가고 그 세계에 대한 그들의 청지기직을 더 깊이 인식해간다. “우리는 지금도 계속되는 창조와 인류의 이야기로부터 지식과 기술을 상속받으며, 하나님과 그분의 나라를 섬기기 위해 지식과 기술을 어떻게 사용할지를 다함께 분별한다.” 숙달해야 할 지식과 기술은 엄선된 학교 교육과정과 기대되는 학습기술 혹은 학습습성 중에서 정해진다. 지식과 기술은 진정한(authentic) 배움의 환경을 제공해주는 PBL이라는 틀 내에서 가장 잘 숙달될 수 있다.

아름다운 작품
교사, 학부모, 공동체 구성원 모두는 학생들이 배움의 목적, 자긍심, 숙련됨을 드러내는 아름다운 작품을 만들어내는 것을 보고싶어한다. 소설, 시, 그림, 발표 및 그 밖의 어떤 작업을 할 때, 학생들은 대개 그들의 배움이 드러나는 최고의 것을 만들어내고 싶어한다. 작품 자체를 목적으로 할 때, 더 아름답고 완성도 높은 결과물이 나오는 것이다. 아름다운 작품은 시간과 노력을 요한다. 아름다운 작품은 이전 학생들의 학습모델을 활용하는 것, 피드백과 비판을 기꺼이 받아들이는 것, 다양한 가안들을 통해 작품을 개선하기 위해 주어진 피드백을 적용하는 것 등의 과정을 필요로 한다.


프로젝트 설계의 다섯가지 요소
벅 연구소의 연구에 따르면, 다음의 요소들은 효과적인 프로젝트 설계의 핵심이다. 이 요소들은 각각 따로 설명할 수도 있지만, 프로젝트의 역동적 과정에서 서로 겹치기도 하고 보완도 해가며 설계의 핵심을 구성한다.


1) 탐구 질문 (학습 추진 질문)
탐구질문은 프로젝트 탐구의 촛점 및 틀을 잡는 것과 학생들이 주인의식을 갖도록 돕기 위해 쓰여진다. 탐구질문은 해결해야 할 일이나 문제에 대해 행동을 취하라는 요청이며, 청중들과 나누게 될 답을 요구한다. 탐구질문은 학생 친화적인 언어로 기술되어야 하며, 되도록 학생들과 함께 만들어져야 한다. 교실 내에 탐구질문을 잘 보이도록 게시하여 프로젝트의 목적과 흥미를 지속적으로 상기시킬 수 있다. 탐구질문은 “왜 우리는 이것을 하는가?”에 대한 답을 찾게한다.


2) 알아야 할 것
이 요소는 탐구질문의 답을 찾기 위해 연구해야 할 영역들을 구체적으로 드러내준다. ‘알아야 할 것’은 교사 및 학생의 관점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교사는 배움을 이끌어주는 자로서 중요한 교육과정 목표가 프로젝트 설계에 녹아질 수 있도록 해야한다. 이상적인 것은, 학생들이 프로젝트 탐구에 더 깊이 참여하게 되면서 그들 스스로 이러한 핵심 지식과 기술들이 꼭 배워야 하는 것임을 알게되는 것이다. 또한 학생들이 프로젝트의 목적 달성을 위해 지식과 기술을 숙련하는데 필요한 만큼의 시간을 기꺼이 투자하게 되는 것이다.


3) 지속적 탐구
지속적 탐구는 프로젝트의 연구 단계 이외에도 포함되야 할 깊고 반복적인 과정이다. 학생들은 프로젝트의 전체 여정동안 탐구정신을 개발하고 그것에 빠져들어야 한다. 탐구는 지속적인 순환이다. 즉, 학생들은 탐구질문에 답하기 위해 계속해서 질문을 던지고, 얻은 정보를 평가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것이다.


4) 의견과 선택
우리는 교사가 수업과 학생들의 배움을 관리하는데 있어 권위를 갖는다는 것을 안다. 하지만 배움은 학생들과 관련된 것이어야 한다는 것 역시 안다. ‘의견과 선택’은 단지 학생들이 결과물이나 수업주제를 정하도록 하는 것을 넘어선다. 그것은 하나의 예에 불과하다. 교사는 학생들이 협동, 작업, 탐구과정을 둘러싼 선택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줄 필요가 있다. 학생들에게 그런 결정들을 해 볼 자유가 주어질 때, 배움에 대한 그들의 자긍심과 주인의식이 길러진다.


5) 학습 공유
PBL은 ‘적절성(authenticity)’이 관건이다. 그들이 배우는 것을 다른 이들과 나누게 될 것임을 알게되면, 학생들은 자신 및 의도하는 청중들에게 적절한 작업을 해야한다. 프로젝트가 전체적으로 성공하기 위해서, 그리고 프로젝트를 가다듬기 위한 피드백을 받기 위한 수단으로서 프로젝트 전체를 통해 일어나는 ‘학습 공유’는 매우 중요하다. 교사나 학급 동료를 넘어 타문화의 전문나 일반청중들과 함께 작업하게 되면, 학생들은 배운 것을 나누고 의미있게 소통하는 것을 숙련할 기회를 얻게 된다.


네 가지 학습 습성
학습 습성(learning habits)의 복잡성은 그것이 각각에 대해 독립적이지 않고 대개 동시에 개발된다는데 있다. 학습습성 개발의 관건은, 학생들이 그 습성을 적용하는데 요구되는 시간과 체계, 그리고 학생들의 성장을 확인하기 위한 평가를 제공하는 것이다.


1) 창의성
창의성은 질문 만들기, 연구 및 정보의 구성, 결과물 만들기, 도구 정하기 등 PBL의 모든 요소에 필요한 습성이다. 창의성은 배움 공동체의 성품과 문화를 개발하는 것에서 시작된다. “아름다운 작품을 만들기 위해 빨리 실패해라”라는 표어는 학습자들이 가안을 발전시키는 과정에서 생각을 행동으로 옮겨야 할 때, 위험을 무릅쓰는 혁신을 시도하도록 도울 것이다. 실패는 나쁜게 아니다. 오히려 프로젝트의 주인의식을 갖도록 하는 배움이 일어나는 단계이다. 창의성을 중요하게 여기는 프로젝트에서는 보통 학생과 교사가 재미를 느끼고 몰입하도록 노력한다.

2) 비평
성장은 학습 목표가 명확할 때, 그리고 적시에 학습자를 고려한 지속되는 비평과 피드백을 주는 공유된 문화가 있을 때 일어난다. PBL에서는 모든 참여자가 다른 학생의 성장에 책임을 진다. 교사의 임무는 친절하고, 도움이 되며, 구체적인 피드백을 할 수 있는 문화와 체계를 만드는 것이다. 비평을 제대로 인식하고 아름다운 작품을 위한 생각을 발전시키도록 돕는, 프로젝트의 다양한 단계에 활용될 수 있는 많은 규칙들이 있다.

3) 개정
학생들이 참여하여 건전히 비판하는 문화를 통해 학생들은 자신의 것을 개정하게 된다. 성장은 사고방식이지만 개정의 과정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반복해서 배우는 것과 그에 대한 피드백은 학습자의 메타인지 발달에 기여한다. 이것은 프로젝트 전체에 걸쳐 실행되어야 하는, 또한 학급동료, 교사, 공동체 구성원과 함께 개발해가야 하는 습성이다.

4) 성찰
성찰과 개정은 종종 많은 학습모델에서 연결되어 나타나는데, 보통 성찰이 학습의 마지막을 장식한다. 프로젝트에서의 성찰은 학생과 교사 모두에게 영향을 줄 수 있는 잠재적 요소이다. 학생들이 자신들의 배움에 대한 글을 쓸 수 있는 시간을 의도적으로 마련하는 것은 학습을 위한, 학습으로서의 평가를 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준다. 이런 성찰의 글은 이후 ‘포트폴리오’나 ‘학습정리’로 만들어질 수 있다.


PBL 커뮤니티